며칠 전 ComfyUI 작업하다가 업데이트 알림을 발견했어요. v0.3.48이 새로 나왔다는 소식이었는데, 평소 메모리 부족으로 고생했던 터라 “메모리 최적화”라는 키워드가 바로 눈에 들어오더라고요. 바로 업데이트하고 직접 써본 결과를 정리해봤습니다.


ComfyUI v0.3.48 주요 업데이트 내용

ComfyUI v0.3.48은 2025년 8월 2일에 릴리즈되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백엔드 성능 개선과 메모리 최적화에 중점을 뒀어요.


핵심 업데이트 4가지

1. ComfyAPI Core v0.0.2 업데이트

코어 API 프레임워크가 대폭 개선됐어요. 커스텀 노드 개발과 서드파티 통합 지원이 강화되고, 전반적으로 더 안정적인 실행 환경을 제공한다고 하네요.

2. 부분 실행(Partial Execution) 지원

이번 업데이트의 진짜 하이라이트예요. 복잡한 워크플로우에서 전체를 다시 돌릴 필요 없이 특정 부분만 실행할 수 있게 됐어요. 디버깅이나 반복 작업할 때 정말 유용할 것 같아요.

3. WAN 모델 메모리 최적화

WAN 관련해서 여러 메모리 최적화가 이뤄졌어요:

  • WAN 카메라 메모리 최적화
  • WAN VAE 최적화로 메모리 사용량 감소
  • WanFirstLastFrameToVideo 노드 오류 수정

공식적으로는 VAE 디코딩에서 약 10% VRAM 사용량이 줄었다고 발표했어요.

4. VAE 연산 최적화

기술적인 부분이긴 한데, VAE에서 manual x * sigmoid(x)를 torch.silu로 바꿔서 연산 속도가 향상됐다고 해요. PyTorch의 최적화된 함수를 사용하게 된 거죠.


실제로 써본 소감

메모리 사용량 확실히 줄었음

제가 주로 쓰는 이미지 생성 워크플로우에서 메모리 효율이 눈에 띄게 좋아졌어요. 공식적으로는 VAE 디코딩에서 10% VRAM 감소라고 했는데, 개인적으로는 전체적으로 20% 정도 효과를 느꼈어요.

RTX 3060 12GB로 테스트해봤는데, 이전에는 1024×1024 이미지 생성할 때 배치사이즈 4로 하면 가끔 VRAM 부족으로 터졌거든요. 근데 이번 업데이트 후로는 같은 설정에서도 안정적으로 돌아가네요.

특히 WAN 모델 쓸 때 차이가 확실해요. 이전에는 512×512도 조심조심 돌렸는데, 지금은 720×720도 무리 없이 처리되고 있어요. 속도는 장담 못함..ㅠㅜ

부분 실행 기능이 진짜 편함

복잡한 워크플로우 만들 때 일부분만 테스트하고 싶을 때가 많잖아요. 이전에는 전체를 다시 돌려야 했는데, 이제는 수정한 부분만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서 작업 속도가 확실히 빨라졌어요.

특히 프롬프트 튜닝이나 파라미터 조정할 때 정말 편리해요.

전반적으로 더 안정해진 느낌

개인적으로는 워크플로우 실행 중 간헐적으로 발생하던 오류들이 많이 줄어든 것 같아요. 이전 버전에서 가끔 노드 연결이 끊어지거나 예상치 못한 오류가 났었는데, v0.3.48에서는 훨씬 안정적으로 돌아가고 있어요.

업그레이드 할까 말까?

결론적으로 업그레이드 추천해요.

특히 이런 분들에게는 거의 필수 업데이트라고 생각해요:

  • 메모리 부족으로 자주 고생하는 분들
  •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자주 수정하는 분들
  • WAN 모델을 사용하는 분들
  • 더 안정적인 작업 환경을 원하는 분들

다만 현재 워크플로우가 안정적으로 잘 돌아가고 있다면 급하게 업데이트할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ComfyUI 업데이트는 가끔 예상치 못한 호환성 문제가 생길 수 있거든요.


마무리

ComfyUI v0.3.48은 겉으로 드러나는 화려한 기능보다는 실질적인 성능 개선과 안정성 향상에 중점을 둔 업데이트예요. 당장 눈에 보이는 변화는 적을 수 있지만, 실제 작업 효율성은 확실히 개선됐다고 느껴져요.

여러분도 업데이트 후 어떤 변화를 느끼셨는지 댓글로 공유해주시면 좋겠어요. 특히 메모리 사용량이나 워크플로우 실행 속도에 변화가 있었다면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