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fyUI는 2025년에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매주 금요일을 목표로 정기적인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omfyUI 2025년 주요 업데이트 내용과 새로운 기능들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2025년 ComfyUI 주요 업데이트 개요

ComfyUI는 Stable Diffusion을 위한 노드 기반 GUI로, 다른 AI 이미지 생성 도구들과 비교했을 때 약 30% 더 빠른 성능을 자랑합니다. 특히 이미지 크기가 커질수록 성능 차이는 몇 배씩 벌어집니다.

새로운 메뉴 시스템

2025년 업데이트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새로운 메뉴 시스템입니다. 과거의 간단한 메뉴에서 벗어나 더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특히 한글 지원이 새로운 메뉴에서만 가능해졌습니다.

성능 최적화

  • 스마트 메모리 관리: 1GB VRAM의 GPU에서도 대용량 모델을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 오프로딩 기능
  • 부분 실행: 워크플로우에서 변경된 부분만 재실행하여 전체적인 성능 향상
  • 최적화 알고리즘: 메모리 사용량과 처리 속도의 균형을 맞춘 최적화

2. 확장된 GPU 호환성

2025년 ComfyUI는 모든 주요 GPU 제조사를 지원합니다:

  • NVIDIA: RTX 시리즈부터 저사양 GTX까지 폭넓은 지원
  • AMD: RDNA 아키텍처 기반 GPU 완벽 지원
  • Intel: Arc 시리즈 GPU 지원
  • Apple Silicon: M1/M2/M3 칩 최적화
  • Ascend: 화웨이 AI 칩셋 지원

3. 새로운 노드들

Experimental CFGNorm Node

CFG(Classifier-Free Guidance) 정규화를 위한 실험적 노드로, 이미지 생성 품질을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SamplingPercentToSigma Node

샘플링 과정에서 퍼센트 값을 시그마 값으로 변환하는 노드로, 더욱 정밀한 샘플링 제어가 가능합니다.

4. VAE 개선사항

VAE(Variational Autoencoder) 성능이 대폭 개선되었습니다:

  • 수동 x * sigmoid(x) 연산을 torch silu로 대체하여 처리 속도 향상
  • 메모리 효율성 개선으로 더 안정적인 이미지 생성
  • 색상 정확도 및 디테일 표현력 향상

5. 워크플로우 공유 시스템 개선

ComfyUI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인 워크플로우 공유 기능이 더욱 발전했습니다:

  • JSON 포맷 지원으로 워크플로우 완벽 재현
  • 자동 의존성 검사로 누락된 노드나 모델 자동 감지
  • 버전 호환성 개선으로 구버전과의 호환성 강화

6. 업데이트 방법

스탠드얼론 버전

  1. ComfyUI 설치 폴더로 이동
  2. update 폴더 진입
  3. update_comfyui.bat 실행

GitHub 클론 버전

  1. ComfyUI 폴더로 이동
  2. 터미널에서 git pull 명령어 실행
  3. 의존성 패키지 업데이트: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7. 2025년 ComfyUI 활용 팁

초보자를 위한 권장사항

  • ComfyUI Manager 먼저 설치하기
  • 기본 워크플로우부터 차근차근 학습
  • 공식 템플릿 활용하여 점진적 기능 확장

성능 최적화 팁

  • VRAM에 맞는 모델 선택
  • 배치 크기 조절로 메모리 효율성 극대화
  • 불필요한 노드는 Bypass 기능으로 비활성화

8. 향후 전망

ComfyUI는 2025년에도 다음과 같은 발전을 계속할 예정입니다:

  • AI 통합: 더욱 스마트한 자동 최적화 기능
  • 클라우드 연동: 원격 렌더링 서비스 확대
  • 모바일 지원: 태블릿 환경 최적화
  • 협업 기능: 팀 단위 워크플로우 공유

마무리

ComfyUI 2025년 업데이트는 사용자 편의성과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킨 의미있는 발전입니다. 새로운 메뉴 시스템과 한글 지원, 확장된 GPU 호환성은 한국 사용자들에게 특히 반가운 소식입니다.

정기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ComfyUI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시고, 새로운 기능들을 적극 활용하여 더욱 창의적인 AI 이미지를 생성해보세요.